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국소비자협회 #자동차검사명인명장
- #한국소비자협회 #자동차검사명인명장#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 #우수숙련기술자
- 서정대학교 #서정대학교자동차과
- 이성현회장 #서정대학교 #서정대학교자동차과 #박진혁 #박진혁교수
- #한국소비자협회 #자동차검사명인명장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 #세이프데이 뉴스 #논설위원 및 #기자
- 한국미래자동차서비스산업협회
- #의정부지방법원 #민사조정위원
-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 박진혁
- 서정대학교 #자동차학과 #박진혁 #한국중소기업뉴스 #중소기업 #전동화 #현대자동차 #자율주행 #튜닝 #자동차검사 #교수 #실무진 #교통사고 #미래자동차 #명장 #자동차탐정 #정비업체 #제작사 #손
- #한국소비자협회 #자동차검사명인명장
- #박진혁 교수 #서정대학교 #자기인증적합조사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제작결함조사 #책임연구원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사이버명예경찰
-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 #박진혁 교수 #서정대학교 #자동차과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제작결함조사 #책임연구원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사이버명예경찰
- 자동차과 #서정대학교 #서정대학교자동차과
- 자동차과
- #한국교통사고조사학회 이사
- 서정대학교
- 자동차과 #서정대학교 #서정대학교자동차과 #박진혁 #박진혁교수
- 캐딜락XT6
- 박진혁 교수 #서정대학교 #자동차과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제작결함조사 #책임연구원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사이버명예경찰
- #홍일표 의원 표창 #윤관석 의원 표창
- 자동차 정비제도 개선 세미나
- #국민안전진흥원 #교통안전본부장
- Today
- Total
한국AI융복합평생교육
자동차제작결함조사에 있어 하인리히 법칙 본문
자동차제작결함조사에 있어 하인리히 법칙
▲ 제작결함조사에 있어 하인리히 법칙과 합리적인 추론에 대하여
“교통사고는 우연이 아니라 필연이다.”교통사고분석사 자격 취득 과정에서 당시 이홍로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원장이 늘 소리 높여 하던 이야기였다.
제작결함조사에 있어 하인리히 법칙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제작결함, 즉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결함이 발생하기 전에는 크고 작은 문제가 나타난다는 이야기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하인리히 법칙(1:29:300)이다.
자동차 및 부품의 결함, 즉 해당결함으로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현상은 해당 문제 현상이 발생되기 전에 경미한 결함현상이 29회 발생하고, 이런 경미한 결함현상 발생 이전에는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결함 현상이 300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법칙은 산업재해, 각종 사고나 재난 뿐 아니라 자동차(건설기계 포함) 및 자동차부품의 제작결함 등에 폭넓게 적용 되야 한다.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제작자의 공통적인 말
필자는 제작결함조사를 수행하면서 예를 들어 제동장치 작동불량 건을 조사한다고 가정할 경우 거의 모든 제작자에게 늘 매뉴얼처럼 들어왔던 말이 있다.
① 자체 조사 결과, 제동불량으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문제는 없는 것으로 안다.
② 자체 조사한 결과, 해당 제동장치 결함 문제를 통해 사고발생은 현재까지 보고된바 없다.
③ 자체 조사한 결과, 해당 자동차에서 제동장치 관련 결함현상이 확인되지 않았다.
④ 자동차안전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에서 조사한 결과 문제없다고 결론이 났다.(면죄부)
⑤ 자체 조사한 결과, 제동장치를 결함요인(원인)으로 판단할 만한 결함은 발견되지 않았다.
⑥ 자체 조사한 결과, 리콜 결정 당시, 제동장치 결함 원인으로 인지하지 못했다.(결함 은폐, 축소 등 자동차관리법 해당 없음 논리)
⑦ 제동장치 등의 해당 결함이 명백히 확인되면 해당결함은 1건만 발생했다. 또는 문제발생 빈도가 낮다, 자체관리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다. 등등의 변명 등....
제작자는 늘 제작자 회의 시 늘 고장난 라디오처럼 위의 내용 또는 유사한 내용으로 대답을 한다.
현장에서는 고객 불만과 문제 부품의 유상수리, 무상수리 등의 조치현황을 제작자 본사 품질보증팀[요즘 이슈 되고 있는 수입차의 예를 들면 BMW코리아(주)]등에 보고하는데도 말이다.
이러한 주장은 늘 하는 통상적인 답변으로 당시 결함조사실에 근무했던 필자는 절대 믿지 않았다. 오히려 해당결함을 인정하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려는 제작자를 더 신뢰하곤 했다.
리콜시정 대상 및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는 경우
▲ 리콜시정 대상 및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는 경우, 제작자가 주장하는 부품(문제 부품은 조사 대상 차종에만 한정)으로 리콜을 주장하나 조사자는 근본적인 원인을 치유하는 부품(조사 대상 확대)으로 리콜을 해야 한다고 주장 시 제작자는 회사가 망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조사자는 물론 자동차제작결함심사평가위원회, 국토교통부 등에도 동일하게 주장한다.
이때 조사자, 조사기관, 국토교통부는 어떠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가? 조사자로서 필자는 많은 고민을 해왔다. 실제로 해당 문제로 리콜을 결정시 제작자 설계, 시험 등의 담당자(책임자), 심지어 학교 선후배도 회사를 떠나야 했다.
제작자는 아무리 완벽한 설계, 시험, 평가, 품질개선 등을 통해 양산에 적용하였다고 하더라도 실제 현장에서는 완벽하게 검증한 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결함(제작, 설계, 조립, 표시상의 결함 등)으로 리콜이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제작결함조사에 있어 하인리히 법칙과 합리적인 추론
제작결함조사에 있어 ▲보고된바 없다, ▲아는바 없다, ▲확인된바 없다, ▲발견되지 않았다, ▲결함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던 제작자에서 예컨데 제동장치 등의 불량 현상이 단, 1대만이라도 문제 현상이 확인 된다면 하인리히 법칙을 적용하여 제작결함 주장시 논리를 펼쳐야 하며 ①기준이 명확할 경우 다양하고 객관적인 데이터(조사내용)를 적용하고 ②기준이 미비하거나 없는 경우 해당 전문가 의견 및 소비자가 체감하는 수준을 근거로 제작결함으로 추론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 박진혁 교수는 (전)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제작결함조사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산업현장에 장기간 종사자로서 최고 수준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우수숙련기술인으로 인정받아 2016년 국무총리상 표창을 수상했다. 한국소비자협회 경기북부지구협회장 및 자동차검사명인명장,(사)국민안전진흥원 국민안전보안관(정보보안), 세이프데이뉴스 논설위원 및 편집국 편집부장, 자동차리콜조사 분야 우수숙련기술자,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로 뛰고 있는 이 분야 전문가다. 교통사고분석사 등 26개 자격취득으로 자동차 및 결함조사 정상급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있다=편집자 주)
편집국 박진혁 논설위원/편집부장/교수ㅣ jinhyuk2089@naver.com
<저작권자 © 세이프데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자의 눈] 올해 7월부터, 부분자율주행차 판매개시 전 제도 개선 필요 (0) | 2020.01.13 |
---|---|
[서정대학교 자동차과 박진혁 교수] 대한민국 최초, 자동차안전과 한국형 레몬법 특강 실시 (0) | 2019.05.22 |
[박진혁 칼럼] 국토교통부 제작결함조사 지시 제목의 중요성 (0) | 2019.05.22 |
근본적인 리콜 시정방법 적정성 조사에 관하여시정조치방법 (0) | 2019.05.22 |
[박진혁 칼럼] 국토교통부 BMW 자동차 화재관련 제작자 뒤에 숨어서 대한민국 정부가 실제적으로 한 것이 무엇인가? (0) | 2019.05.22 |